『평화의 꿈』 서문(1)
(『和平的夢』序, 1939)
구쥔정(顧均正)
8·13 사변이 일어나 중일 전쟁이 발발한 이후, 웰스(H. G. Wells)의 『미래세계』(The Shape of Things to Come, 1933)는 한동안 널리 회자되곤 했다. 모두들 이 책이 좋다고 하는 데에 아무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니다.
웰스는 1934년 역사를 예언하는 이 책을 완성했고, 중일 전쟁 발발은 불가피하여, 전쟁이 한커우가 함락되는 단계에 이르면 대치 국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 국면이 장기화하면 점령지대 농업이 황폐해져 흉년이 들고, 광범위한 지역에 기근이 들고 역병이 돌아 전쟁을 계속할 수 없을 지경이 될 것이라 단언했다. 이 말은 전쟁 발발 초기에 이미 태반이 들어맞았고 지금 보자면 십중팔구는 들어맞았다 할 것이다. 웰스는 신도 아닌데 그가 말한 예언은 왜 그렇게 정확한 것일까? 절반은 그의 상상력이 풍부하기 때문이고, 나머지 절반은 그의 사고가 과학적이기 때문이다.
웰스는 과학소설을 써서 유명해졌고 이 책으로 인해 흥미가 생겨 그가 지은 과학소설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내가 자주 가서 책을 빌리곤 하던 도서관이 절반은 폭격에 훼손이 되고 절반은 이사하면서 분실되어, 빌릴 수 있는 책이 영일 대역본 단편집 한 권밖에 없었고, 선집에는 달랑 대여섯 편밖에 실리지 않아 내 호기심을 채워주기엔 턱없이 모자랐다. 웰스의 소설은 복사본이 아직 없고 서양 원서는 가격이 너무 비싸, 부득이하게 그 대신 과학소설을 전문으로 싣는 잡지를 사서 읽기 시작했다.
과학소설(Science Fiction)은 전문 잡지가 있어, 미국에서 1926년 건스백(Hugo Gernsback, 1884-1967)이 창간한 『경이로운 이야기』(Amazing Stories)를 시초로 하여, 그 뒤로 그와 비슷한 잡지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지금까지 십여 종 남짓하며, 내가 최근에 읽어보고 기억하는 것으로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Amazing Stories(월간)
Thrilling Wonder Stories(격월간)
Marvels ― Science Stories(격월간)
Science Fiction(격월간)
Dynamic Science Stories(격월간)
이런 종류의 잡지에 대해 나는 칠팔 년 전 주의 깊게 들여다보곤 했는데, 그때 항상 드는 생각이 공상적인 부분이 너무 많고 과학적인 부분은 너무 적지 않은가였다. 바로 웰스의 『투명인간』(The Invisible Man, 1897)으로 말하자면, 그 투명인간이 도대체 어떻게 몸을 감출 수가 있는가에 대해 가정만이 있을 따름이지 과학적인 근거가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책을 『서유기』(西遊記)나 『봉신연의』(封神演義) 종류로 보아 과학소설로 부르자니 부합하지 않았다. 이렇게 생각하니 과학소설에 대한 열망이 차갑게 식어버렸다.
최근 다시 그런 종류의 잡지를 들춰보다가 다른 종류의 생각이 들었다. 지금 과학소설이 잘 쓴 작품이 과연 있는가라는 문제와는 별도로, 과학소설을 지을 가치가 있는가는 전혀 다른 문제라는 것이다. 이는 바로 그림책과 사정이 비슷하니, 지금 잘 만든 그림책이 있는가와는 별도로 그림책을 권장할 가치가 있는가는 또 다른 문제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과학소설이 이미 추리소설의 지위를 거의 따라잡아, 책이건 영화건 아니면 라디오 방송이건 가리지 않고 대중의 환영을 받고 있다. 독자들은 아직 기억할 것이다. 일 년 전 미국 뉴욕의 어느 라디오 방송국에서 웰스의 미래 전쟁에 관한 과학소설을 송출하여 전역이 소동에 빠지고 시골로 앞다투어 피난 간 일이 있지 않았는가? 이로써 보자면 사람들이 과학소설에 깊이 빠져드는 것이 순문학 작품보다 못한 바 없음을 설명하고도 남음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종류의 소설을 이용하여 과학적 내용을 담아 과학 교육을 보급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아니 그렇게 해야만 하지 않겠는가?
내 생각에는 이런 작업이 가능하고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 상단의 [작성자명](click)을 클릭하시면 저자의 다른 글들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