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번역] ‘국민성’ 담론의 성립 ― 루쉰과 『지나인 기질』의 관계를 중심으로(2)

 

 

국민성’ 담론의 성립 ― 루쉰과 『지나인 기질』의 관계를 중심으로(2)
(“國民性話語的建構以魯迅與『支那人氣質』之關係為中心)

 

 

 

리둥무(李冬木)
*李冬木 著, 『越境―“魯迅”之誕生』,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2023, 295-483.

 

 

  기타오카 마사코가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작업한 ‘비교 대조’는 지난한 품을 들여 거둔 성과가 현저하여, 결국 『내가 아는 루쉰』에 수록된 문장과 원저작물 사이에 보이는 ‘차이’를 완정한 도표로 제작함은 물론 이 ‘차이’에 대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개괄했다.

 

  이 도표에서 보이는 차이는 어떤 경우 단어와 수사에 변동이 있거나 아니면 생략과 삭제가 있어, 적을 때는 단어 자구에 그치고 많을 때는 수십 행에 이르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변동된 결과로 보면 표현된 내용에 그다지 변화가 없을 때가 많지만, 후자의 경우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소실 혹은 변동라는 결과를 낳았다. ……… 내용이 변한 곳은 대략 다음 세 가지 사항이다. 1. 국민성 개조 문제와 관련된 곳, 2. 체제가 기대하는 루쉰에 대한 형상이나 루쉰 평가와 저촉이 되는 곳, 3. 기타이다. (「기요」 35-36쪽)

 

  기타오카 마사코가 지적한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소실 혹은 변동”이라는 상황 가운데 여기서 다루려 하는 문제와 직결되는 것은 바로 “1. 국민성 개조 문제와 관련된 곳”이다. 이것 역시 필자가 이 논문을 적극 소개하려는 주요 이유이기도 하다. 이것은 개별 학자가 부딪히는 개별 문제가 아니기에, 그리고 기본 문헌 속에서 개별 단어가 불일치하는 차원이 아니라, 구성 연구와 입론 전제의 역사성에 관한 진위 문제를 망라한다. 그래서 “국민성 개조 문제와 관련된 곳”을 이해하는 데 있어, 쉬서우상이 도대체 어느 부분에서 “타인의 손을 거쳐” “저자의 의도를 반영하지 않는” 편집을 했나라는 문제는 바로 이 글이 어느 한 가지도 빼놓을 수 없는 작업이다. 기타오카 마사코가 이에 대해 설명하고 조사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찍이 누군가 지적하길, 루쉰이 일본 유학 시절 이미 중국 국민성 개조가 구국을 위한 긴급한 과제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라고 했고, 이 점을 지적한 사람은 다름 아닌 쉬서우상이었다. 이 점은 이후 루쉰 문학 사상을 구성하는 핵심 과제로, 그의 저서를 읽은 사람은 누구나 느끼는 바가 있을 것이다. 쉬서우상이 회고하길 그들 두 사람이 고분 학원에서 공부하던 시절 자주 국민성 개조에 대해 토론하던 모습은 쉬서우상 본인에게 잊기 어려운 기억으로 남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 두 사람의 이후 인생을 규정하게 되어, 그로부터 시작해 그의 기억에 선명하게 남게 되었다. 루쉰 사후 쉬서우상이 강술한 이 기억은 그 자신에 대해 계속해서 진행된 현재 문제의 강술이다. 이것이 쉬서우상이 루쉰 문장을 말할 때 국민성 개조 문제가 자주 출현하는 연유인 것이다. (「기요」 36쪽)

 

  이 내용과 관련된 범위 내 기타오카 마사코가 수행한 조사에서 명시적으로 중요한 ‘삭제와 변동’은 다섯 곳이 있다.

 

갑. 「『민국 원년 이전의 루쉰 선생』 서문」(『民元前的魯迅先生』序)

원본: 그는 혁명을 하려면 먼저 혁심(革心)을 해야 한다는 점을 깊이 깨닫고 정신을 치료하는 것이 신체를 치료하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수정 후: 그는 정신을 치료하는 것이 신체를 치료하는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깨닫고

을. 『루쉰을 회고하다』(回憶魯迅)

원본: 두 번째 사항의 탐색에 관하여 우리 민족에게 가장 결핍한 것이 성(性)과 애(愛)라는 점을 깨닫고,

수정 후: 두 번째 사항의 탐색에 관하여 당시 우리들은 우리 민족에게 가장 결핍한 것이 성과 애라고 여겨,

병. 『루쉰의 정신』(魯迅的精神)

원본: 루쉰은 중국 민족 일체의 전통의 결정을 제련해내어 이 아Q 형상을 창조해냈다.

수정 후: 루쉰은 중국 민족 전통 속의 병태 부분을 제련해내어 이 아Q 형상을 창조해냈다.

정. 『루쉰의 정신』

원본: 아Q는 본래 무지막지한 사람이라 수천 년 이래의 봉건제도 유산을 물려받아,

수정 후: 아Q는 본래 무지막지한 사람이라 수천 년에 걸친 봉건제도의 압박을 물려받아,

무. 『루쉰과 청년』(魯迅和靑年)

원본: 의(義)는 뒤돌아보지 않는다. 그는 「상아탑을 나오며 후기」(出了象牙之塔後記)에서 말했다. “역사는 과거의 진술을 말하고 국민성은 미래에 고쳐질 수 있어, 개혁가의 눈에는 과거와 지금의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과 같다.”

수정 후: 의는 뒤돌아보지 않는다.

 

  이 다섯 곳의 ‘삭제와 변동’에 대해 기타오카 마사코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갑’을 보면 루쉰이 「외침⋅자서」(吶喊⋅自序)에서 이야기한 기의종문(棄醫從文)한 이유를 떠올리게 만드니, 즉 눈에 들어오는 첫 번째 요지는 바로 아무런 의의 없이 군중에게 보이는 재료와 방관자의 ‘우매한 국민’의 정신을 바꿔야한다는 것이다. “혁명을 하려면 먼저 혁심을 해야한다한다”가 삭제된 바로 보건데, 루쉰이 사고하는 ‘혁명’에는 국민 ‘마음’의 ‘혁명’만이 중심 과제로, 이를 삭제하고 앞뒤로 연결하면 이 부분에 대한 강조가 사라진다.

  ‘을’은 두 사람이 고분 학원에서 국민성에 대해 토론할 때 두 번째 사항(중국 민족이 결핍한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유와 사고를 말하고 있다. “깨닫고”가 바뀌어 “당시 우리들은 여겨”로 되었다. 중국의 루쉰 연구에 있어 상당히 오랜 기간 루쉰이 제기한 국민성 문제가 계급 관점을 결핍하고 있다고 여겨져 이 문제에 대한 연구가 ‘금기’로 되어 사람들이 감히 무슨 말을 하지 못했다. “당시”로 시작하는 구절을 넣어 루쉰이 청년기에 그렇게 생각했고 이후 계속해서 그러지는 않았음을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었을까?

  ‘병’과 ‘정’이 말하는 것은 『아Q정전』 소설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이다. 이 소설은 아Q라는 전형 형상을 통해 국민성 개조 문제를 표현했다. 루쉰이 “중국 민족 일체의 전통의 결정” 속에서 아Q라는 전형을 창조했다고 말한 것을 “전통 속의 병태 부분”에서 이 전형을 창조해냈다고 고쳤다. 그리고 아Q가 수천 년 이래 봉건제도의 “유산”을 계승했다는 것을 봉건제도의 “압박”을 계승했다고 고쳐, 이로부터 전자는 아Q 형상의 창조 기초를 한정했고 후자는 피해자 일면을 아Q와 결부한 결과 쉬서우상이 『아Q정전』에 대해 내린 평가가 변하도록 만들었다.

  ‘무’는 루쉰이 말한 국민성을 지속적으로 개조해야 한다는 맥락 위에 있다. 생략된 것은 구리야카와 하쿠손(廚川白村)의 「상아탑을 나오며」를 인용한 ‘번역 후기’에서 루쉰이 미래에도 국민성 개조의 희망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라는 의미 부분이다. (「기요」 36-37쪽)

 

  편폭에 한계가 있어 기타오카 마사코의 논문은 여기까지 소개할 수밖에 없어 상세 내용은 독자들이 직접 원문을 보거나 앞에 이미 소개한 중국어 번역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상 다섯 곳의 ‘삭제와 변동’이 있는 부분은 모두 루쉰의 ‘국민성 사상’과 직접 관계가 있는 내용으로, 필자는 기타오카 마사코의 참을성 있고 자세한 독서와 주도면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쉬서우상 회고에 있는 이 문제에 관한 언론의 원시 자료를 확보했다. 지금부터 있을 쉬서우상에 대한 문제 제기와 심도 있는 토론은 모두 이로부터 얻은 원시 자료에 기초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충하고 싶은 말이 있다. 기타오카 마사코의 작업이 ‘정본 원작’(正本淸源)이라는, 본래 모습으로 역사를 되돌린다는 점에서 그 의의와 가치가 있기에, 최소한 기타오카 마사코의 작업을 기초 삼아 편집과 출판 부문에서 1978년 판본 『내가 아는 루쉰』을 다시 교감하면 저자의 의지가 반영된 쉬서우상의 회고록을 비교적 완정한 최초 원본의 상태로 편집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직 좀 미진하다. 필자의 서가에는 루쉰박물관, 루쉰연구실, 『루쉰연구월간』에서 선별한 여섯 권짜리 『루쉰회고록』(魯迅回憶錄, ‘저서’ 상하권과 ‘문장’ 상중하권으로 나뉜다)이 있어 1999년 베이징출판사(北京出版社)에서 출판되었다. 쉬서우상 이름의 책 두 권은 그 중 제1권으로 ‘저서 상권’에 있다. 437쪽에서 ‘내가 아는 루쉰’이라는 제목 아래 괄호를 붙인 설명이 있다. “인민문학출판사 1952년 6월 초판과 1978년 6월 개정판에 따랐다. 책 속에 글 몇 편 내용은 원편자가 삭제하여 중요한 생략 부분은 원문에 근거하여 보충했고 이탤릭체로 인쇄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한 “이탤릭체로 인쇄”한 “중요한 생략 부분”을 기타오카 마사코 논문의 ‘다름과 같음’ 표와 비교해본 바에 따르면, 어떤 부분은 원문에 따라 보충했다지만 많은 부분, 특히 미묘한 부분은 보충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기타오카 마사코가 『죽은 벗 루쉰』에서 삭제되었다고 지적한 두 단락(대략 1500자)에서 첫 번째 단락은 완정하게 보충되었다(446-448쪽). 그러나 두 번째 단락에서는 여전히 마지막 부분에서 짧지 않은 ‘부기’(附記)를 생략하여 편자가 말하길, “이 글 뒤에 덧붙인 쉬단(許丹, 즉 許季上)이 루쉰을 애도한 시 한 수 「저우 위차이 형을 곡하다」(哭周豫才兄)는 생략했다――편자”(451쪽)라 했다. 이로부터 보건데, “보충”되어야 할 부분이 여전히 보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 현재 편자가 생각하는 “중요한 생략”의 기준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으니, 원편자가 가한 “중요한 생략” 이외 기타 생략과 변동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인가? 보충되지 않고 수정되지 않은 부분이 아직 존재한다면 “원문에 근거하여”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약 『루쉰회고록』의 편자가 기타오카 마사코의 논문(이 논문은 바로 위에서 소개한 것처럼 중국어 번역이 『루쉰연구월간』에 발표되었다)을 보지 않았거나 봤더라도 자세히 읽지 않았거나, 자세히 읽은 결과물이 본문에서 수정된 바 없어, 『내가 아는 루쉰』이 『루쉰회고록』이라는 최신 출판물에 수록되면서도 개정이 철저하지 못한 미진한 판본이 되고 말았다. 바꿔 말하면, 원래 문장으로 돌아간다는 점으로 말하자면 신뢰할 수 없는 판본이라는 것이다.

 

 

 

※ 상단의 [작성자명](click)을 클릭하시면 저자의 다른 글들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