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중국의 주요 산업 현황 및 협력 방안] 반려동물 식품 업계 편

 

 

 

1. 중국 반려동물 시장 현황

  중국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반려동물과 더 많은 시간 보내고 반려동물을 위해 식품, 의류, 장난감, 의료, 미용, 조련 등의 용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 관련 시장이 발전하고 있다.

  중국의 반려동물 업계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2017년 1,340억 위안 규모였던 시장이 2020년에는 1,885억 위안에 달하는 등 2010~2020년 사이 연평균 30.9%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표1] 2010-2020년 중국 반려동물 시장규모(단위: 억 위안)

 

  그중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업계는 1990년부터 생성되기 시작했으며, 1993년 마스(玛氏公司)의 명품 개 사료 브랜드 ‘바오루(寶路)’와 고양이 사료 브랜드 ‘웨이자(偉嘉)’가 중국에 진출하면서 중국 전문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열렸다. 반려동물 병원과 펫 샵, 펫 미용실 등 반려동물 관련 업종이 성장한 가운데 펫 푸드는 반려동물 산업사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이다. 2009~2019년 중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은 매년 성장하여 2019년에는 시장 규모가 600억 위안에 육박했다.

 

[표2] 2009-2019년 중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규모 (단위:억원), 前瞻产业研究院

 

 

2. 중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특징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판매는 반려동물 전문점, 반려동물 병원, 백화점 및 마트, 온라인 채널을 통해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반려동물 전문점, 마트 및 백화점이 주요 판매 루트였으나 최근에는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이후로는 전자상거래에서의 반려동물 식품 판매가 늘어나면서 2009~2018년 반려동물 식품 전자 상점의 점유율이 0.3%에서 45.4%로 급상승하였다.

 

[표3] 2009-2018년 중국 반려동물 식품 판매경로 비율 변화

 

 

3. 중국 반려동물 식품 기업 현황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시장은 브랜드 영향력과 풍부한 매장 운영 경험을 지닌 외국계 기업이 선점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로컬 브랜드 역시 가격 경쟁력과 적극적인 브랜드 진입 정책을 시행하여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표4] 중국 반려동물 식품(사료) TOP 10 Brand

 

로열 펫 푸드(RoyalCanin, 皇家)

1967년 프랑스에서 설립되었으며 애완동물식품 10대 브랜드, 홈스테이 강아지를 위한 영양 프로그램을 지닌 글로벌 반려동물 식품 업계의 유명 기업이다. 로열 펫 푸드는 프랑스 남부의 한 수의사가 설립했으며 전 세계 각지에 60여 개의 계열사와 11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직원 수는 4,200명에 이르며 1995년에 중국으로 진출하여 상하이에 본부를 두고 있다.

 

퓨리나(PURINA, 普瑞纳)

1894년 설립된 퓨리나는 12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퓨리나는 세계 최대 동물 영양 제품과 농산물 제조업체인 카길 지사의 브랜드이다. 카길은 전세계 59개국에 10만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4. 시사점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 생활의 증가, 1~2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로 인해 반려동물 양육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식품, 의료 서비스, 미용 등 다양한 반려동물 시장이 발전하고 있다. 그중 특히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 시장은 외국계 브랜드가 초기에 진입함으로써 시장을 선점하였으나 이후 로컬 브랜드의 신규 진입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내 다수의 반려동물 로컬 식품 브랜드들은 주로 가격을 낮추어 경쟁하고 있는데, 제품의 품질이 낮아 전반적으로 중국 로컬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신규 진입 브랜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몇몇 브랜드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중국 반려동물 식품 브랜드는 인지도가 낮은 상황이다.

  반려동물 식품의 구매 방식은 주로 전문점, 마트에서 구매하던 것에서 온라인 구매로 바뀌고 있다. 제품 종류 역시 고가, 중저가 제품으로 다양화 되고 있으며 신규 브랜드는 제품 차별화 및 전문화 전략,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상단의 [작성자명](click)을 클릭하시면 저자의 다른 글들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글